본문 바로가기

주식 (국내+해외)

2021년 상반기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 4

4. 달러화 약세, 원자재가격 및 신흥국 증시 상승 의견 유지

 

 

 

 

 

미국의 돈풀기 지속,

백신 공급 확대는 경기민간 원자재가격을 상승시키고 달러화 약세 압력을 높입니다.


- 2020년 11월 백신 개발 소식이 전해지면서 산업용금속, 원유 등 경기민감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원자재가격 상승은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 원자재가격과 달러환느 역관계입니다. 그래서 원자재가격 상승할 때 달러화는 약해집니다.

 

 

미국 실질금리(10y) 하락, 달러화 약세 지속은 금가격 상승 요인입니다.


- 금가격($)은 미국 실질금리(10y) 및 달러인덱스와 반대로 움직이는 역관계성이 매우 뚜렷합니다.

- 바이든 정부의 추가 경기부양정책이 구체화되고, 물가상승 기대 확대 및 달러화 약세 기대가 높아지면 금가격은 추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달러 약세 국면에서 산업용금속가격 상승하고,

상업용금속가격 상승하 때 신흥국 증시가 더 강해집니다.


- 5G 인프라 구축 중심의 뉴딜 정책, 백신 개발에 따른 경기회복 기대 등은 산업용금속 상승 요인입니다.

- 과거 산업용금속가격 상승 국면에서 신승국 증시는 선진국 증시보다 더 강해졌습니다.

 

 

신흥국 증시 상승할 때, 아시아 증시 및 한국 KOSPI 상승합니다.


- 달러화 약세 & 원자재가격 상승 국면에서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증시는 상승합니다. 지난 2020년 11월~12월에 그렇게 움직였습니다.

 

 

글로벌 달러화 약세는 한국 USDKRW환율 하락(달러화 약세 & 원화 강세) 요인입니다.


- 한국 USDKRW환율은 달러인덱스와 중국 USDKRW환율과 매우 뚜렷한 정관계로 움직입니다.

- 달러인덱스 및 중국 USDCNY환율 추가 하락 전망이 우세하므로 한국 USDKRW환율 역시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로벌 달러화 약세,

한국 USDKRW황율 하락(달러화 약세 & 원화 강세) 국면에서 한국 수출경기 개선됩니다.


- 한국 USDKRW환율과 한국 수출총액은 역관계성이 매우 뚜렷합니다. 즉, USDKRW환율 하락 국면에서 한국 수출총액 증가됩니다. (최근 반도체 수출 증가가 매우 뚜렷합니다.)

- 한국 수출총액과 한국 KOSPI는 정관계로 움직입니다. 즉, 한국 수출총액 증가할 때 KOSPI 상승합니다.

 

 

2021년,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는 '반도체 슈퍼사이클' 도래 기대가 높습니다.


- 글로벌 코로나19 장기화로 온라인 교육, 재택근무 등이 늘어나며 올해 PC와 태블릿 판매량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수요는 내년에도 이어진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 백신 개발 기대 등에 의한 경제활동 정상화 전망으로 내년에 스마트폰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5G 투자 확대로 서버 수요가 커진다는 전망이 많습니다.

 

 

USDKRW환율 하락(달러화 약세 & 원화 강세) 국면에서 외국인 순매수 늘어나고 KOSPI 상승합니다.


- USDKRW환율과 KOSPI는 매우 뚜렷한 역관계로 움직입니다. (KOSPI 하락시 USDKRW환율 상승, KOSPI 상승시 USDKRW환율 하락)

- USDKRW환율 하락 국면에서 한국 증시에 투자한 외국인은 주가 상승에 환이익을 동시에 얻게 됩니다. 그래서 USDKRW환율 하락시 KOSPI 외국인 순매수가 늘어납니다.

 

 

 

한국 KOSPI는 여전히 저평가되어 있습니다. PBR 1.2~1.3배 수준으로 Re-Rating 기대됩니다.


- 2020. 12. 31 기준 KOSPI 2873pt, BPS 2596, PBR 1.1067배 (2018년초 KOSPI PBR 1.1배 기록)

- PBR 1.2배시 KOSPI 3115pt, PBR 1.3배시 KOSPI 3374pt

 

 

'달러 / 원자재 / 신흥국 증시 / 한국 증시' 메커니즘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