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국내+해외)

글로벌투자 기본교육 2

2. 글로벌 금융시장 메커니즘 이해 (원자재, 신흥국 증시)

 

 

 

 

 

전반적으로 원자재 가격과 달러화는 역(-)관계로 움직입니다.


- 화폐가치(달러화)와 실물가치 (원자재)는 서로 반다로 움직이는 관계

 

원자재가격 종합지수 (빨간색) vs 달러인덱스 (검정색)

 

원자재가격 종합지수 (빨간색) vs EURUSD환율 (검정색)

 

 

원자재 - 원유


- 달러화와 뚜렷한 역관계로 움직이지만, 지정학적 / 정치적 이슈에 의해서 다르게 움직일 때도 있습니다.

 

BRENT 원유가격 (빨간색) vs 원자재종합가격 (검정색)

 

BRENT 원유가격 (빨간색) vs EURUSD환율 (검정색)

 

원자재 - 산업용금속 (구리, 알루미늄, 니켈 등)


- 달러화와 뚜렷한 역관계로 움직이며, 구리가격이 산업용금속가격을 움직이는 핵심 요인입니다.

 

산업용금속가격(빨간색) vs EURUSD환율 (검정색)

MSCI신흥국 주가지수(빨간색) vs 산업용금속가격 (검정색)

원자재 - 농산물


- 농산물 가격 역시 달러화와 뚜렷한 역관계로 움직입니다.

 

농산물가격 (빨간색) vs 달러인덱스 (검정색)

농산물가격 (빨간색) vs 유럽 EURUSD환율 (검정색)

원자재 - 금/은


- 금가격은 달러인덱스와 반대로 움직이는 관계가 뚜렷합니다. 일반적으로 달러화 약세 국면에서 가격 상승하고, 달러화 강세 국면에서 하락합니다.

- 그러나 오로지 달러인덱스 만으로 가격 움직임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 미국 10Y 실질금리와 역관계로 움직이는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판단해야 합니다.

달러인덱스 (빨간색) vs 금가격 (검정색)

미국 10Y 실질금리 (빨간색, 역측) vs 금가격 (검정색)

금투자는 '환헤지 금(종이 금)'과 '환노출 금(현물 금)' 투자로 분류됩니다.


- 똑같은 금이라도 '환헤지 금(종이 금)'과 '환노출 금(현물 금)'은 투자수익률이 다릅니다.

1. 환헤지 금 (=국제 금가격, 펀드 / ETF등 종이 금)

- 1온스 기준 USD표시 금가격 추종

- USDKRW환율 환헤지 (H) Gold 투자

 

2. 환노출 금 (=국내 금가격, 골드바등 현물 금)

- 1g 기준 KRW 표시 금가격 추종

- USDKRW환율 환노출(UH) Gold 투자 

 

Gold는 '주식'에 대한 안전자산일까요?


 

금현물(골드바) 거래 조건 비교 (2019. 9.30 기준)


▷ 골드바 현물 인출시 은행별 투자수익률 비교

※ 매입시 기준가격 대비 금가격 +20% 상승시

 

USDKRW환율 환노출 (UH) Gold 투자상품


- 대표적인 USDKRW환율 환노출 금 투자상품은 골드바 (Gold Bar)입니다. 그러나 금관련 주식형펀드를 USDKRW환율 환노출로 선택해도 됩니다.

 

USDKRW환율 환헤지(H) Gold / Silver 투자상품


IBK 골드마이닝증권자투자신탁1호[주식]종류 C1

블랙록월드골드증권자투자신탁(주식-재간접형)(H)(C1)

 

은가격은 금가격에 정관계로 연동되어 움직입니다. 단, 가격변동성은 은이 훨씬 큽니다.


-은가격 상승여부를 별도로 판단하지 말고 금가격 상승여부 판단을 은가격에 동일하게 적용하면 됩니다.

Silver가격 (USD, 빨간샌) vs Gold가격 (USD, 검정색)

Silver가격 (USD, 빨간색) vs Gold가격 (USD, 검정색) 누적수익률 비교

 

원자재가격은 상승은 신흥국 (특히, 자원부국) 주가지수 상승 모멘텀으로 작용합니다.


- 원자재를 생산하는 자원부국 (브라질, 러시아 등)이 신흥국에 주로 편입되어 있으므로 원자재가격과 신흥국 주가지수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 따라서 달러 약세 국면에서는 원자재가격과 신흥국(특히, 자원부국) 주가지수의 상승 모멘텀이 높아지게 됨

 

 

원자재가격종합지수 (검정색) vs MSCI 신흥국 주가지수 (빨간색)

원자재가격종합지수 (검정) vs MSCI 신흥국 / 선진숙 주가지수 상대강도 (빨강)

신흥국 주가지수 (MSCI Emerging Market Index) 국가별 구정 현황


- 브릭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 한국 5개 국가가 신흥국 전체 비중의 약 60% 차지

MSCI 브릭스 주가지수 (빨간색) vs MSCI 신흥국 주가지수 (검정색)

 

신흥국 증시는 원자재가격과 연동되고 움직이고 있지만, 중국본토 영향력은 점차 높아질 것


- 2017년 6월 중국 본토기업 주식의 MSCI 신흥시장지수 편입 결정, 국가별 비중 조절로 인해 중국을 제외한 다른 신흥국들에게는 악재인 셈이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리밸런싱되므로 변화를 감지하기는 어려움 (2018년부터 리밸런실 시작하여 약 5년에 걸쳐 변경 완료 예정)

- 그러나 신흥시장 내에서 중국의 영향력이 대폭 확대된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음